The Outside Story (2017~)
Against Us 우리가 아닌 우리
2009년 부터 진행중인 project 대화의 4번째 주제는 <우리가 모르는 우리>, 공동체의 이야기이다. 지난 프로젝트들에서 '꿈', '사랑', '보통'과 같이 평범함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뜻하지 않게 잃어버리는 것(상실)과 잊어버리게 된 것(망각)에 대해서 말하며 삶에서 의미 있는 것들에 대해 성찰하게 하는 프로젝트들이 '보통'을 거쳐 자연스럽게 4번째 프로젝트 <우리가 모르는 우리>(2019~)로 이어진다.
시리즈 '우리가 아닌 우리'는 '우리가 모르는 우리' 밖의 이야기이다. 즉 우리라고 말하지만, 결코 우리라고 여기지 않는 저들..
과연 우리는 저들과 함께 살 수 있을까.
* 'The Outside Story' is a spin-off concept project of Vol.4 'Our Unknown Country'.
1.the othere side of hope
The othere side of hope, 2017, single HD video11:00 (Text: Hélène Cixous 'Lethe' , Narration: Euitack Oh)
대한민국에서 가장 간절한 바램을 접할 수 있는 곳이 어디일까?
한 해 평균 200여명의 투신자들이 찾아온다는 마포대교..
생명의 다리가 되고 싶었으나 정작 죽음의 다리가 돼버린 이 불운한 다리는 지금도 오늘에 절망한 수많은 사람들을 맞이하고 있다.
그러나 나는 이곳에서 지난 5년간의 ‘버린 꿈’ 설문조사에서 그토록 만나고 싶었던 희망을 간절하게 바라는 이들을 발견 할 수 있었다.
그들이 다리에 남겨둔 심정(心情)이 발견된 지점에서 강물을 보노라면 죽음을 생각하며 사람들은 마음 깊숙이 묻어둔 삶에 대한 희망들을 찾는 모양이다.
E. 시오랑(Cioran)의 말처럼 현실에 의해 죽은 자들이 희망이 사라진 절망의 끝에서 역설적으로 희망을 찾는 이곳에서 나는 오래전 포기해 버린 나의 꿈을 떠올리려 한다.
Series) Last Wish, 2017, C-print (text: "You took a trouble today also”)
마포대교 위에는 정말 많은 사연들이 예상도 할 수 없는 위치에 적혀있다. 마치 각 사연들을 적은 사람들의 심정을 나타내는 위치에 있달까...
아슬아슬한 다리 난간아래에 "오늘하루 수고했어요"란 말은 위태로운 하루들을 말해주는 듯하다.
Where are the most desperate urges expressed in Korea? Mapo Bridge is known as a site where about 200 people each year commit suicide by jumping. This bridge, which is expected to be the bridge of life but has become the bridge of death, welcomes a multitude of persons who are despairing today. Ironically however, I discover those who earnestly seek hope. People seem to explore an earnest hope of life kept deep in their hearts when thinking about their death at the site where they have left their desperation behind. What E. Cioran says goes, my dream I had forgotten long ago comes to my mind at the end of desperation from which those who were killed by harsh reality have lost their hope.
A lot of stories are written on the unexpected locations of Mapo Bridge. Each story is in a position signifying the mental state of one who wrote it.
The words, “You took a trouble today also” written narrowly under the rail of the bridge seem to imply their critical moment.
2. Paradise on Earth (2017~)
This project has been presented in two versions: Seoul (2017) and Sharjah (2023). more detail in the series. ▶
A Forest of Prejudice, 2017, UV print on the lace, light, Variable dimensions
(text: North Korean defecters's answer about the survey question "A South of vanishing hope vs. a North of scant freedom: Who is unhappier?" )
Paradise on Earth, 2023, Media: neon sign, aluminum plate, 200(h)x500cm, Sharjah Biennale15
Neon sign design: Minjae Kim (aabb)
As far as I know, Korean society is plagued by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more serious than any other society. We often look on others who differ from us and things that are different from what we have, such as race, religion, gender as well as origin, academic background, age, parents and even appearance. It gets harder to have class mobility, the difference in income become more serious, and collective selfishness is widespread. While Korean society has shifted to a multicultural society, we tend to unify more solidly for our group’s gain rather than with a broad mind to embrace others and other cultures. Korean young people documented to be the first generation that is poorer than their parents are thoroughly rated under capitalist order, struggling not to fall into a lower spot.
Those who are not us people often tell about --- What do we look like by them?
The objects I met first are North Korean defectors considered a multicultural group in South Korea. They have undergone more difficulties and disregard to become citizens of South Korea than migrant workers. They have had a period of suffering to conceal the fact that they came from North Korea. South Koreans they have to fight, or our inconvenient gazes....
Throughout this work, I felt inconvenient to our shameful appearance and sorry for them.
More ▶
A Man without a Country, 2023, Shredded Korean banknotes, sound, speakers, electric fans, mirrors, manual lottery machines, survey paper, neon sign and hanging steel mobile, Variable size, Sharjah Biennale15
North Korean defectors escape North Korea and arrive in South Korea, usually via China, Laos, and Thailand. While passing through 2-3 countries like that, they did not receive a friendly message saying 'Welcome'.
An interview with a North Korean defector who answered that the formal 'Welcome' that he heard for the first time after arriving in South Korea was the most impressive word in the past 10 years left a deep impression on me.
Paradise on Earth' was first shown at SeMA in 2017, then developed and presented at Sharjah Biennale in 2023. Please refer to Series. ▶
Paradise on Earth, 2017, sound (Broadcast to North Korea in DMZ), speaker, light_50(w)x700(d)x300(h)cm, SeMA
Propaganda broadcasts to North Korea are heard in a dark, narrow passageway measuring 50 cm wide signifying the process of defecting from North Korea.
Survey: A South of vanishing hope vs. a North of scant freedom: Who is unhappier?
하늘 별 세상, 2017, 혼합재료, 가변크기, 서울시립미술관 (제목 '하늘 별 세상'은 한 탈북자가 남한 사회를 일컬어 했던 답변에서 차용했다.)
이 작업을 진행하는 내내 부끄러운 '우리'의 모습에 한없이 불편하고 그들에게 미안했다. 내가 아는 한 대한민국은 그 어느 사회보다 편견과 차별이 심한 사회이다. 인종, 종교, 성차별은 물론이고 출신과 학력 나이와 부모 심지어 생김새까지 나와는 다른 모든 것들에 색안경을 끼고 본다. 갈수록 어려워지는 계층 이동과 커져만 가는 소득격차, 그에 따르는 집단 이기주의가 팽배하다. 한국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되어가는동안 자신과 다른 사람, 문화를 받아들이려는 마음은 넓어지기 보다 오히려 집단들은 이익을 지키기 위해 단결력을 높이고 있다. 부모 세대보다 가난한 첫 세대로 기록될 요즘의 청년들은 자본주의의 질서아래 철저히 등급이 매겨지는 중이며 살아남기 위해 더 높은 곳을 가기위함이 아니라 더 낮은 곳으로 가지 않기 위해 몸부림치고 있다.
소위 사람들이 말하는 나와는 다른 우리가 아닌 사람들... 정작 그들이 바라본 우리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내가 만난 첫 대상자들은 남한에서 다문화집단으로 인식돼가는 북한이탈주민들이다. 탈북민들이 남한 사회에서 대한민국 국민이 되기 위해 겪어야 하는 어려움과 외국인노동자보다 못하다는 처지로 전락하여 차마 북에서 왔다는 사실을 숨겨야하는 침묵과 고통의 시간들을 보내고 있다. 나조차도 인식못했던 그들을 바라보는 남한 사람들의 불편한 시선들...
* 'The Outside Story' is a spin-off concept project of Vol.4 'Our Unknown Country'.